반응형
생두의 등급 분류기준
1. 브라질/뉴욕 분류법
블랙빈이라는 결점 생두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여러 형태의 결점두와 불순물 등을 수량으로 환산하여 등급을 결정한다. 항목으로는 N2, NY3 등으로 분류되며 샘플생두 300g 안에 몇 개의 결점두와 불순물이 혼합되어 있는 가를 기준으로 한다.
2. SCAA 분류법
다른 분류법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방법으로 등급을 분류하는 기준법으로 스페셜티 그레이드와 프리미엄 그레이드로 분류하는데 스페셜티 그레이드법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주로 생두의 크기, 모양, 결점두 및 불순물 등의 결점사항과 컵테스트로 건조, 박피가 끝난 생두를 14~18 스크린을 이용하여 크기를 구별한 다음 각 스크린 위에 있는 생두의 무게와 비율을 확인한다. 또 커핑을 통해 여러 가지 향미를 느끼는데 각기 다른 독특한 특성을 구분하기보다는 결점이 있는 향미를 가려내는 데 있다.
- 스페셜티 그레이드: 완전 결점 5개 이내
- 프리미엄 그레이드: 완전 결점 8개 이내
3. 케냐/탄자니아 분류법
인도 분류기준에 기초하여 생두의 크기와 결점, 이물질의 혼합률에 따라 생두의 품질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 B: 스크린 사이즈 15 / A: 스크린 사이즈 16 / AA: 스크린 사이즈 18 / AB: A등급과 B등급이 혼합
- TT: 등급에 제외된 작고 가벼운 생두로 생산국에서 등급을 측정할 수 없는 커피에 붙이는 명칭
4. 과테말라 분류법
생두의 경작고도에 의하여 품질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분 류 | 생두의 경작고도 |
SHB(Strictly Hard Bean) | 해발 4,500피트 이상 |
HB(Hard Bean) | 해발 4,000에서 4,500피트 |
Semi Hard Bean | 해발 평균 3,800피트 |
Extra Prime Washed | 해발 3,000에서 3,500피트 |
Prime Washed | 돌해발 2,500에서 3,500피트 |
Good Washed | 해발 2,500피트 미만 |
커피의 맛을 좌우하는 게 무엇인가?
모든 음식이 그러하 듯 원재료의 품질이 음식의 맛을 결정한다. 고로 커피 역시 그러한데, 아무리 로스팅과 드립기술이 뛰어나다 하더라도 그린빈의 품질이 가장 중요하다. 어디서 어떻게 어떠한 환경에서 가공되는지와 보관, 유통방법이 상당히 중요하다.
- 생두의 색이 균일해야 한다. 적절한 시기에 알맞게 관리, 수확, 저장된 생두가 좋은 생두라고 할 수 있다.
- 생두의 크기가 균일하면 좋다. 생두의 등급이 높을수록 콩의 사이즈가 균일하다고 볼 수 있다.
- 결점두의 비율이 적으면 좋다. 여러 가지 요인에서 결점두가 만들어지겠지만 대부분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하다.
돌, 나무스틱, 벌레먹은 콩, 발효콩, 미숙성 콩 등이 결점두이다.
반응형
'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일드계 커피 (3) | 2023.11.18 |
---|---|
커피 로스팅의 정의와 3대 커피의 향미 특성 (3) | 2023.11.17 |
커피 재배환경에 따라 인증된 명칭 (1) | 2023.11.15 |
커피 그린빈의 명칭과 스타일 (2) | 2023.11.13 |
커피 생두의 보관, 선별, 출하 (4) | 202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