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피

커피 재배환경에 따라 인증된 명칭

by 장사93 2023. 11. 15.
반응형

오가닉 커피  

 친환경적인 재배방법 중 하나로 유통, 저장, 커피재배, 로스팅 등 전 단계에서 인공적인 가공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 커피로 주로 바이어가 농장에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웰빙 열풍으로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유기농 커피에 대한 소비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유기농 커피라고 해서 맛이 더 좋은 것은 아니지만 사람의 손이 더 가기 때문에 비싼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셰이드 그로운 커피

 원래 커피는 울창한 숲에서 다른 작물과 함께 재배되었다. 그래서 전통적인 재배방식인 '셰이드 그로운'은 나무 그늘 아래에서 자란다는 명칭이다. 햇빛을 덜 받으며 자라기 때문에 수확량은 적을 수 있어도 열매가 천천히 성장하여 밀도 높은 커피를 수확할 수 있어 풍미와 향은 훨씬 뛰어나다. 하지만 사람들의 커피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햇빛을 받아 커피 수율을 높이기 위해 주변에 나무를 베어버리기 시작했다. 그 결과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콜롬비아 커피 농지의 60% 이상이 사라져 버리고 지속가능한 커피 재배는 어려워졌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커피 재배를 위해 '버드 프렌들리'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새의 서식지를 보존하며 만들어진 커피로 친환경적인 환경에서 재배되었으며 고품질의 아라비카 커피의 대부분은 그늘에서 재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페어 트레이드 커피

 공정거래 무역커피라는 뜻으로 국제적으로 결정된 합리적인 가격의 커피를 판매하는 생산자에게 부여되는 공증방식이다.  주로 유기농법이나 셰이드그로운 커피를 생산하는 생산자들은 페어 트레이드 협동조합에 가입되어 있다.

 

에코오케이 커피

 농장에 일하는 근로자들의 복지까지도 평가기준에 들어가는 평가이며, 열대우림동맹에서 파견된 검사관이 커피재배로 인해 주변에 파급되는 영향이 바른 방향인가를 확인하고 재배환경을 판별하는 등 환경영향평가를 하는 것이다.

 

서스테이너블 커피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기준은 물론 안정적인 가격, 작업환경, 근로자 복지들 간의 광범위하고 철저한 기준에 부합되는 커피 생산자에게 부여하는 인증으로 SCAA로 널리 알려진 미국 고급 커피위원회에서 마련한 기준이다.

 

파트너십 커피

 서로 간의 협정, 동맹으로 맺어진 커피로 커피생산자협동조합과 대형 로스팅회사 간에 협정을 맺어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즉 로스팅회사가 판매하는 커피빈 가격의 일정 금액을 생산지의 환경개선에 쓰도록 기부하는 것이다. 또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커피를 공급하기 위해 서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생산하는 커피이다.

 

올드커피와 몬순커피

 올드커피와 몬순커피는 그린빈을 적정한 환경에서 일정기간 묵혀 산도는 서서히 감소하고 바디감은 상승하게 하여 이로 인한 화학반응으로 풍미를 다양하게 하는 방법이다. 그렇기 떄문에 올드커피와 몬순커피의 모양은 다르지만 그 풍미는 유사하다.

 - 올드커피

   여러지역에서 생산되는 올드커피들은 그해에 팔지 못한 그린빈들을 수입업자들이 구매하여 창고에 보관했다가 판매하는 것들인데, 의도적으로 올드커피를 생산하는 곳으로 올드 자바로 유명한 인도네시아가 유일하다. 업자들은 특별한 창고를 이용하며, 이 창고의 저장기간은 2년에서 5년인데 주기적으로 포대의 위치를 바꿔주고 서늘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좋은 올드커피는 달콤하고 바디가 아주 묵직하게 되는데 이런 올드커피는 에이징이 잘되어 있어 빈이 골고루 밝은 갈색을 띤다. 이 경우 그린빈의 산도 함유량이 충분해야 한다. 또 창고에 저장되는 동안 빈이 자체적으로 곰팡이 종류의 성분을 생성하는데 이것으로 인해 프렌치 치즈에서 나는 치즈군내가 가볍게 돈다. 올드커피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몬순커피는 올드커피에 비해 생산시간이 절약 가능하다.

 - 몬순커피

   그린빈을 창고에 쌓아 촉촉한 몬순바람을 쐴 수 있도록 창고의 문을 열어 자연건조 시킨다. 2~3주가 지나면 바람에 실려온 습도를 머금어 빈이 노란빛깔을 띠고 부풀어 올라 커지면서 풍미의 변화를 가져온다. 몬순커피는 산미가 적게 느껴지고 느낌이 묵직하고 달콤하다. 잘 만들어진 몬순커피는 초콜릿이나 맥아의 달콤함 같은 몰티로 표현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