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코스타리카
로부스타 커피의 재배가 불법이기 때문에 아라비카 커피만 생산하는 좋은 환경을 가진 커피 생산국
카리브해 서쪽에 위치한 코스타리카는 해발고도 1,180m에 있는 고원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우기와 건기가 뚜렷하고 1년 내내 쾌적한 기후를 가지고 있어 커피 생산에 훌륭한 환경적인 요인을 가지고 있다. 수도 산호세 중앙공원 지역의 경사지역과 태평양 해변에서 생산되며, 품질 등급은 SHB, HB, HGA, LPA, P 등급으로 나눈다. 대체로 강한 신맛이 특징이며 감칠맛과 향이 우수하다. 코스타리카는 화산 토양이며 바나나와 커피가 주요 수출 품목이며, 중앙아메리카에서 최초로 이 두 가지 농산물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코스타리카 커피로 국내에서도 유명한 타라주를 살펴보면 품질도 매우 좋지만 풍부한 커피향과 감칠맛이 있어서 특히 잘 팔린다. 타라주는 태평양 연안 로스산토스 지역으로 지반은 퇴적암, 생산고도는 약1,200m~1,500m, 강수량은 연2,400mm이고 우기와 건기가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생두는 작고 녹청색으로 고지대에서 생산하고 단단한 편이며 카투라, 카투아이가 주요 생산품이다. 또한 코스타리카 커피는 뚜렷한 맛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주로 단품종으로 생산되며 더욱이 고산지대의 가장 큰 특징인 밀도가 높아 훌륭한 커피를 생산하는 만큼 병충해도 없고 유기농 커피재배가 인기가 많다. 코스타리카의 고지대 커피와는 반대로 저지대 커피는 뜨겁고 습기가 많은 환경으로 생두 품질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밀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맛과 향이 안 좋다.
등 급 | 생산총량 | 커피 생두 재배지 고도 |
SHB(Strictly Hard Bean) | 40% | 해발 1,200 ~ 1,650m |
GHB(Good Hard Bean) | 10% | 해발 1,100 ~ 1,250m |
HB(Hard Bean) | 19% | 해발 800 ~ 1,100m |
MHB(Medium Hard Bean) | 14% | 해발 500 ~ 1,200m |
HGA(High Grown Atlantic) | 5% | 해발 900 ~ 1,200m |
MGA(Medium Grown Atlantic) | 8% | 해발 600 ~ 900m |
LGA(Low Grown Atlantic) | 3% | 해발 200 ~ 600m |
P(Pacific) | 1% | 해발 400 ~ 1,000m |
2. 자메이카
70kg 나무 오크통에서만 유통되는 세계 최고의 명품커피로 커피계의 '로마네꽁띠'를 생산하는 커피 생산국
자메이카는 아담하고 아름다운 섬나라로 동남부에는 블루마운틴을 최고봉으로 한 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산맥의 남쪽사면에서 생산되는 커피는 품질이 우수하여 최고봉의 이름을 따서 '블루마운틴'으로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
자메이카의 커피는 18세기말 Martinique에서 건너왔고 사탕수수가 주요 생산품인 자메이카의 경제적인 발전을 위하여 커피 생산을 장려하게 되었다. 자메이카의 커피는 블루 마운틴인가 아닌가로 구분된다.
블루마운틴 커피는 카리브해가 내려다보이는 블루마운틴 산맥의 고산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이곳에는 애틀랜타, 실버힐, 바비스, 웨런포드 등의 농장이 있는데, 이들 농부는 200년 동안 대를 이어 커피를 재배해 왔지만 소량재배를 추구하고 있어 이 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있는 농장이라 해도 국제 표준농장 규격보다 규격이 작다. 커피를 재배하는 농장들이 위치한 지역은 기후가 서늘하고 안내가 끼며, 비가 자주 오고 땅은 빗물을 잘 흡수시키는 천혜의 토질인데 지리적인 요건상 커피재배는 수작업이 일반적이다.
블루마운틴 커피는 옅은 신맛, 와인 같은 쌉쌀한 맛, 부드러운 쓴맛과 단맛, 스모키 한 맛을 두루 갖춘 아주 우수한 커피로 평가받고 있다. 등급으로는 블루 마운틴, 하이마운틴, 프라임 위시드, 프라임 베리 등의 4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재배되는 산의 높이와 원두의 스크린에 따라 블루 마운틴, 하이마운팅으로 분리되며 중, 저지대에서 재배되는 커피는 프라임워시드급 커피로 '자메이칸'이라고 부른다.
등 급 | 내 용 |
블루 마운틴 | 생산 고도는 매우 높다. 색깔은 푸른색을 띠며 아오마와 신맛, 단맛 등을 조화롭게 느낄 수 있다. |
블루 마운틴 밸리 | 우수한 맛과 향기를 느낄 수 있으나 블루마운틴에 비해 낮은 고도에서 생산된다 |
하이마운틴 슈프림 | 고지대에서 생산된 커피로 생두의 모양이 고르고 좋은 산도, 향기, 바디감을 느낄 수 있다. |
프라임 자메이카 워쉬드 타입1과 타입2 | 중지대와 고지대 사이에서 생산되며 향기, 산도, 바디감이 조화롭다. |
프라임 자메이카 워쉬드 타입3과 타입4 | 위 등급과 비슷하나 스크린사이즈가 조금 더 작고 결점두가 발견된다. |
Trage A and B | 수출금지 등급이다. |
'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생산국-브라질 (4) | 2023.12.08 |
---|---|
커피 생산국 - 콜롬비아 (5) | 2023.12.06 |
커피의 생산국-엘살바도르, 에콰도르 (31) | 2023.12.03 |
커피 생산국-멕시코, 과테말라 (4) | 2023.12.02 |
커피의 분쇄 정도와 좋은 물의 조건과 추출시간 (5) | 2023.11.30 |